리대리의 자본주의 살아남기

반응형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지역 성별 최신 정보 변경사항 총정리 

 

 ​주민등록번호로 출생신고 지역을 알 수 있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주민등록번호는 대한민국 국민에게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 번호로, 총 13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을 나타내며, 뒤의 7자리는 성별, 출생 지역, 그리고 검증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최신 변경사항을 포함한 총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주민번호 뒷자리

 

목차(Contsnts)
1.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구성과 의미
2. 2020년 10월 이후의 변경 사항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구성과 의미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 7자리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뒷자리 의미

 

 

  1. 첫 번째 자리(7번째 숫자): 성별과 출생 세기를 나타냅니다.​
  2.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자리(8~11번째 숫자): 출생 등록지의 지역 코드를 나타냅니다.​
  3. 여섯 번째 자리(12번째 숫자): 동일 지역, 동일 날짜에 출생 신고된 순서를 나타냅니다.​
  4. 일곱 번째 자리(13번째 숫자): 검증 번호로, 주민등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성별 및 출생 시기 구분

 

뒷자리 첫 번째 숫자는 성별과 출생 시기를 구분합니다:

  • 1: 1900년대 출생 남성​
  • 2: 1900년대 출생 여성​
  • 3: 2000년대 출생 남성​
  • 4: 2000년대 출생 여성​
  • 5: 1900년대 출생 외국인 남성​
  • 6: 1900년대 출생 외국인 여성​
  • 7: 2000년대 출생 외국인 남성​
  • 8: 2000년대 출생 외국인 여성​

 

2. 지역 코드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숫자는 출생 신고를 한 지역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각 지역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코드 범위

 

서울특별시 00~08
부산광역시 09~12
인천광역시 13~15
경기도 16~25
강원도 26~34
충청북도 35~39
대전광역시 40~41
충청남도 42~47
세종특별자치시 44, 96
전라북도 48~54
전라남도 55~66
광주광역시 55, 56, 65~66
대구광역시 67~69, 76~77
경상북도 70~75, 77~81
경상남도 82~84, 86~93
울산광역시 85, 90
제주특별자치도 93~95

 

세부 지역

 

서울특별시 00~08 00: 종로/중구 강원특별자치도 26~34 30: 동해
    01: 용산/성동/광진     31: 춘천
    02: 동대문/중랑/성북     32: 홍천/횡성/원주/영월
    03: 강북(029)/도봉/노원     33: 평창/정선/철원/화천/양구
    04: 은평(039)/서대문/마포     34: 인제/고성/양양/홍천/삼척
    05: 양천/강서/구로/금천 충청북도 35~39 35: 청주
    06: 영등포/동작/관악     36~38 단양 ,39: 제천
    07: 서초/강남 대전광역시 40~41 40: 동/중/서
    08: 송파/강동     41: 대덕/유성
부산광역시 09~12 09: 중/영도/서/동/사하 충청남도 42~43  
    10: 금정/동래/연제/부산진/남구   45~47  
    11: 북/사상/강서 세종특별자치시 44, 96 44: 연기군
    12: 해운대/수영/기장 전라북도 48~54 48: 전주
인천광역시 13~15 14: 중/미추홀/연수/남동     54: 익산
    15: 부평/계양/서구 전라남도 55~64 55~56: 목포
    16: 수원/안양 일부     66: 장성
경기도 16~25 17: 의정부/성남/안양 광주광역시 55~56  
    18: 부천/시흥/광명   65~66  
    19: 안산 대구광역시 67~69 67:동/중/수성구
    20: 구리/평택   76~77 68:서구/달서구 
    21: 파주/고양     69: 남/북/중/달서
    22: 화성/오산/남양주/평택 일부     76:달성군 77: 군위군
    23: 하남/광주/연천 경상북도 70~75  
    24: 포천/가평/양평/이천/여주   77~81  
    25: 용인/안성/김포/강화 경상남도 82~84 82: 창원
강원특별자치도 26~34 26: 춘천/원주   86~96 85: 하동
    27: 강릉/속초 울산광역시 85~90 90: 창원군
    28: 태백 제주특별자치도 93~95  

 

이러한 지역 코드를 통해 개인의 출생 신고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3. 출생 신고 순서

 

여섯 번째 숫자는 해당 날짜와 지역에서 동일 성별로 출생 신고된 순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은 해당 지역에서 해당 날짜에 첫 번째로 출생 신고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4. 검증 번호

 

마지막 숫자는 검증 번호로, 주민등록번호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앞의 12자리 숫자에 특정한 수학적 규칙을 적용하여 산출되며, 번호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보안 요소입니다.

 


2020년 10월 이후의 변경 사항

 

사진 - 행정안전부 제공

 

 개인정보 보호 강화와 지역 차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20년 10월부터 주민등록번호 부여 체계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새로 발급되는 주민등록번호에서는 성별을 나타내는 첫 번째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6자리가 임의의 숫자로 부여됩니다. 이를 통해 출생 지역 등의 민감한 정보 노출을 방지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였습니다.

 

 


맺음말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는 성별, 출생 지역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개인의 민감한 사항에 해당합니다. 2020년 10월 이후의 부여 체계 변경은 이러한 민감한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개인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민등록번호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리대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