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도 4분기로 들어오면서 벌써 절반이 훨씬 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아마 귀찮음에 건강검진 대상자에 해당함에도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시거나 건강검진 대상자임을 인지하지 못해서 건강검진을 받지 않고 있으시는 분도 있을 것 같은데요
올해가 가기전에 국가건강검진 대상자분들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2023년도 국가 검진 대상자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도 국가 건강검진 대상자는?
건강검진 대상자
국가 건강검진 대상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선정하고 있습니다. 일반건강검진 대상자는 세대주, 직장가입자,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20세~64세의 의료급여수급권자가 그 대상자입니다. 또한 매 2년마다 1회씩 실시하도록 하고 있고, 비사무직의 경우에는 매년 실시하여 건강상 문제를 확인할 수 있도록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직장피부양자, 의료급여수급권자의 경우 직접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지 않아도 매년 등록된 주소지로 우편을 통해 안내하고 있으니 아마 본인이 놓친 경우에는 가족에게 물어보면 건강검진을 받으라는 우편이 날아온 사실을 알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혹 이사 등을 통해 주소지가 변경되어 건겅검진 대상자 임을 우편을 통해 안내 받지 못한 경우 아래의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공단
1. 먼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건강검진대상자조회를 클릭합니다. (https://www.nhis.or.kr/nhis/index.do)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혹 방문자별 맞춤메뉴에 건강검진대상조회 메뉴가 없는 경우 건강in -> 건강검진정보 -> 검진대상조회 경로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페이지
2. 로그인을 합니다. 공동, 금융인증서의 경우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므로 간편인증이 편리합니다.
조회결과
3. 조회결과를 확인합니다. 저의 경우 2023년에 건강검진을 수검하였기에 수검완료라고 뜨는데, 일반검진이나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대상자로 뜰 것입니다.
검진기관찾기
4. 혹시 대상자로 떠있다면 아래에 검진기관찾기를 클릭합니다. 검진기관찾기 메뉴는 암검진 안내 왼쪽 밑에 있습니다.
예약
5. 본인이 살고있는 주소 등을 입력하고 검진기관을 조회하여 예약합니다. 꼭 살고있는 주소가 아니어도 검진을 받기 좋은 주소의 병원을 검색하고 예약해도 상관없습니다.
일반건강검진안내
검사항목
일반건강검진의 경우 공통적으로 간수치나 혈당수치, 흉부방사선, 구강검진 등을 진행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추가 검사를 받게 됩니다. 검진 결과의 경우 검진 후 15일 이내 검진기관에서 문진시에 작성한 주소로 발송 받을 수 있습니다.
* 건강검진 주의사항
필수 확인사항
건강검진의 경우 당연히 전날 9시 이후에는 금식해야하고, 최소 8시간 이상의 공복상태를 유지해야합니다. 그리고 일반건강검진의 경우 매년 12월 31일자에 연장없이 종료되므로 대상자의 경우에는 올해가 가기전에 검진을 받도록 해야합니다.
성별, 연령별 검사항목 역시 해당하는 당해 연도에만 국가에서 지원하여 검사받을 수 있기 때문에 꼭 대상자임을 확인하여 해당 연도에 받을 수 있도록 합시다.
맺음말
아파서 병원에 가는 것보다 미리 건강검진을 통해 예방적으로 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 건강검진 대상자 임을 매번 우편으로 확인하는 것도 귀찮은 경우에는 최근에 국민비서 구삐를 카카오톡 친구추가를 해놓고 알림 설정을 해놓으면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대상자가 되면 알려준다고 하니 구삐 서비스를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